동계올림픽 인기 종목으로 등극한 컬링.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한국 여성 대표 선수들의 드라마틱한 메달 획득 과정과 특유의 경기 방식에서 느껴지는 팽팽한 긴장감 덕에 컬링은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며 평창 동계올림픽 최고의 인기 종목으로 등극하였었습니다.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평창 때 메달 획득 신화를 일궜던 그 팀 킴이 멤버 그대로 출전하여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기를 보면서 룰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이 많으셨을 텐데요. 저 역시 컬링에 대해 처음 접했을 당시 게임 룰을 이해하기 전엔 경기 방식 자체가 살짝 난해해 보였던 기억이 있네요. 하지만 양 팀 간에 경기를 진행하며 느껴지는 그 특유의 치열함 덕에 룰을 몰라도 그 분위기만으로 재밌게 보았었습니다.
컬링은 점수계산법에 대해 알고 나면 더욱더 재미있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모르고 봐도 재밌는데 경기 양상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이해하게 되면 더욱 흥미진진하겠죠?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도만 아셔도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럼 이제부터 컬링 점수 계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컬링 점수계산법에 대한 간단한 정리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아래 이미지를 먼저 보시면 더욱더 쉽게 이해하실 것입니다.
- 레드 팀이 1점
- 옐로 팀이 3점 (옐로 팀의 스톤 3개 모두 레드팀의 스톤을 제치고 안에 있어서 3점)
- 레드 팀이 1점 (정중앙에 가장 가까운 것은 레드 팀 스톤 1개)
- 두 팀 모두 0점
- 경기는 총 10엔드까지 진행되며, 각 엔드마다 8번씩 스톤을 던집니다. 각 엔드 당 얻은 점수를 취합해 한 점이라도 많은 점수를 얻은 팀이 경기에서 승리합니다.
- 한 엔드가 끝날 때, 하우스 중앙 가장 작은 원에 스톤을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킨 팀에 해당 엔드에서 점수를 따냅니다. 상대팀의 스톤보다 안쪽에 있는 스톤의 개수만큼 점수를 얻습니다. 즉 하우스 안에 한 팀의 스톤이 모여있는데 그 군집 안에 상대팀의 스톤이 하나도 없다면 그 팀은 스톤의 개수만큼 온전히 점수를 따내는 것이죠.
- 정중앙에 가장 가까운 스톤을 1번 스톤이라고 합니다. 어떤 팀의 것이든 상관없이 정중앙에 가까우면 1번 스톤이 됩니다. 그 다음 가까운 스톤은 2번 스톤, 그 다음은 3번 스톤이 됩니다. 정중앙에 가장 가까운 스톤이 1번이 되므로 스톤을 던질 때마다 계속해서 1번이 바뀌겠죠? 여기서 1번, 2번 스톤이 우리팀 스톤이고 3번 스톤이 상대팀 스톤이라면 우리팀이 2점을 얻는 것입니다.
- 결국 점수계산은 엔드가 끝날 때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니 초중반 스톤을 아무리 많이 정가운데에 위치시킨다더라도 상대팀 차례에서 우리 스톤을 전부 하우스 밖으로 쳐낸다면 점수를 얻지 못하는 것이죠.
- 해당 엔드마다 점수는 승리한 팀만 얻을 수 있으며, 패배한 팀은 스톤이 하우스 안에 몇 개가 있더라도 점수를 얻지 못합니다.
- 컬링 점수계산법은 절대 평가가 아니라 상대평가입니다. 하우스 안에 아무리 많은 스톤을 정중앙에 가깝게 위치시키더라도 결국 상대 팀의 스톤 1개가 정중앙에 더욱더 가깝다면, 우리 팀의 스톤은 하나도 점수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죠.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첫 번째 엔드
1번째 엔드에서 "SWE"팀은 하우스에 스톤이 두 개 놓여있고 두 개 모두 상대방 스톤보다 하우스 중앙에 더 가깝기 때문에 2점을 얻습니다.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두 번째 엔드
2번째 엔드에서 "GER"팀의 스톤 1개가 "SWE"팀의 세 개의 스톤보다 정중앙에 가깝게 놓여있기 때문에 1점을 가져갑니다.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세 번째 엔드
3번째 엔드에서 "SWE"팀의 스톤은 정중앙으로부터 멀긴 하지만, 하우스 안에 있고, 상대팀의 스톤보다 정중앙에 가깝기 때문에 1점을 얻습니다.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네 번째 엔드
4번째 엔드에서는 양 팀의 스톤이 하우스 안에 하나도 없기 때문에 두 팀 다 0점을 얻습니다.
컬링 점수계산법 예시 :: 다섯 번째 엔드
5번째 엔드에서 "GER" 팀은 스톤 하나가 다른 팀의 스톤들 보다 정중앙에 더 가깝기 때문에 1점을 얻습니다.
빗자루질은 대체 왜 하는 거지?
컬링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공을 던질 때마다 선수가 달라붙어 공 앞에서 빗자루 같은 것으로 열심히 쓸고 닦는 모습을 보며 어쩌면 의아함을 느낄 수 있는데요. 선수들이 열심히 빗자루질을 하는데 경기장 안에 울려 퍼지던 '영미" 때문에 그 모습이 더욱 오묘함을 더했는데요. 사실 이때 선수들이 사용하는 장비는 단순한 청소도구 같은 게 아니라 브룸이라는 이름의 과학적 장비라고 합니다.
컬링 경기장의 빙판에는 경기 전에 물을 뿌려 작은 얼음 알갱이들이 솟아나 있는 울퉁불퉁한 상태라는데요. 이를 브룸으로 문질러 얼음 알갱이를 녹여 스톤이 저항 없이 부드럽게 미끄러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선수들은 이 브룸으로 스톤의 진로와 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유도하는 것이죠.
이렇게 룰에 대해서 한번 숙지하시고 나면, 몰랐을 때는 난해해 보였던 컬링 경기가 사실은 상당히 직관적인 스포츠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특유의 경기 방식으로 인해 피지컬과 두뇌를 모두 활용해야 함에 따라 각 팀이 구사하는 여러 전략 전술들을 따져보는 것도 컬링을 즐기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렇듯 컬링은 당구나 골프 같은 여러 게임들을 합쳐놓은 듯한 그 독특한 매력 덕분에 보는 맛이 있어 이제는 국대 경기가 아니더라도 컬링 경기를 즐기는 마니아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 함께 읽어보면 좋을 글
'흥미탐구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정말 투자할만할까? (0) | 2022.02.14 |
---|---|
컬링 알아두면 좋을 규칙 간단 정리 (0) | 2022.02.14 |
가스라이팅 뜻 쉽게 정리 (0) | 2022.02.13 |
기아 레이 1인승 과연 쓸모 있을까? (0) | 2022.02.10 |
이말년 인터넷 방송 추천 콘텐츠 (0) | 2022.02.06 |